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아키텍처
- REPLICATION
- NoSQL
- Typesript
- Redis
- codepresso
- ASG
- TypeScript
- ELB
- springboot
- k8s
- kubernetes
- ci/cd
- Jenkins
- Elastic Load Balancing
- Auto Scaling Group
- docker
- AWS
- 코드프레소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패턴 (1)
Study Note

Spring의 application.properties, application.yaml과 같은 설정 파일로 모든 환경설정 파라미터를 프로젝트와 함께 패칭징 하는 방식으로 많이 운영되고 있습니다. 프로젝트와 함께 설정 파일을 패키징하면 설정 정보가 변경되어야 할 경우 애플리케이션에 설정 파일이 함께 패키징 되어 있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 전체를 다시 빌드애야 하는 단점이 있습니다. 이러한 단점을 보안하기 위해서 설정 외부화 패턴을 사용합니다. Spring을 예로 들면 Spring을 Build 한 후에 application.properties만 외부의 다른 파일을 지정해서 실행 할 수 있습니다. 이런 방식으로 서버를 운영할 경우 애플리케이션을 다시 Build 하지 않고 서버를 재실행 하는 작업만 해도 설정을 ..
패턴
2021. 8. 9. 09:19